ABOUT ME

안녕하세요 곰곰건축 입니다. 건축 기본 용어부터 여러 프로그램 활용하여 여러 집을 설계하여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건축 쪽에 관심이 많은 분들과 소통을 하고 싶습니다. 많은 구독, 많은 사랑 부탁드립니다.

Today
Yesterday
Total
  • 〔곰곰건축〕도서관 출납시스템 완전정복!
    건축개론 2020. 4. 19. 16:40

     

    지난번 포스팅에서는

    개가식 vs 폐가식 도서관에

    대해서만 간단히 비교 설명하였지만

    개가식에는 더 많은 종류가 있기 때문에 

    정리를 하기 위해서 글을 쓰고 있어요~

     

    1. 자유개가식(free open system)

    형식 : 열람자 자신이 서가에서 책을 꺼내어 책을 고르고 

    그대로 검열을 받지 않고 열람하는 형식으로

    보통 1실형이고, 10,000권 이하의 서적보관과 열람에 적당하다.

     

    장점

    - 책 내용파악 및 선택이 자유롭고 용이

    - 책의 목록이 없어 간편

    - 책선택시 대출기록 제출이 없어 분위기가 좋다.

    단점

    - 서가의 정리가 잘 안되면 혼란스럽게 된다

    - 책의 마모, 망실이 된다.

     

    2. 안전개가식(safe quarded open access)

    형식 : 자유개가식과 반개가식의 장점을 취한 것으로서 열람자가

    책을 직접 서가에서 꺼내지만 관원의 검열을 받고 기록을 남긴 후 

    열람하는 형식이다.

     

    특징

    - 출납시스템이 필요치 않아 혼잡하지 않다.

    - 도서열람의 체크시설이 필요하다.

    - 서가열람이 가능하여 책을 직접 뽑을 수 있다.

    - 감시가 필요하지 않다.

     

    3. 반개가식(semi open access)

    형식 : 열람자는 직접 서가에 면하여 책의 체제나 표지정도는 볼 수 있으나

    내용을 보려면 관원에게 요구하여 대출기록을 남긴 후 열람하는  형식으로서

    신간서적안내에 채용되며, 다량의 도서에는 부적당하다.

     

    특징

    - 출납시설이 필요하다.

    - 서가의 열람이나 감시가 불필요하다.

     

    4. 폐가식(closed access)

    형식 : 열람자는 책의 목록에 의해 책을 선택하여 관원에게 대출기록을

    제출한 후 대출받는 형식으로 서고와 열람실의 분리되어 있다.

     

    장점

    - 도서의 유지관리가 양호하다.

    - 감시할 필요가 없다.

    단점

    - 희망한 내용이 아닐 수 있다.

    - 대출절차가 복잡하고 관원의 작업량이 많다.

     

    제가 ppt로 만든 자료인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혹시 필요한 자료나 과제나 어려운 내용은 정말정말

    댓글에 달아주시면 

    이해하기 쉽게 노력할게요~

    오늘도 좋은하루 되세요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