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곰곰건축〕루이스 칸 (Louis I. Kahn)
    건축가 2020. 7. 22. 13:22

    루이스 칸 (Louis I. Kahn)

     

    -     출생 1901220

    -     사망 1974317

     

    1.    배경

     

    루이스 칸은 1901년 에스토니아에서 태어났다. 그가 4살 때, 그의 부모는 필라델피아로 이주했다. 그는 예술적인 재능으로 펜실베이니아 대학 건축하과에 입학하게 되었다. 당시 그 대학의 건축교육은 에콜 데 보자르의 전통에 충실한 폴 크레 교수의 지도 아래 있었다.

    대학을 졸업한 후, 칸은 몇몇 건축사무소에서 근무하였다. 그 중에는 필라델피아 시에 속한 건축가인 존 몰리토(John Molitor)의 사무소와 그의 은사인 폴 크레의 사무소가 있다. 1928년 칸은 고향인 에스토니아로 여행을 떠나 영국, 네덜란드,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를 돌아보았다. 그 때 칸은 모더니즘의 영향 아래 지어진 당시의 건물들을 볼 기회를 가졌지만, 고대의 유적을 방문하기를 더 좋아했다. 칸이 모더니즘 건축을 접한 것은 주로 간행물을 통해서였다. 모더니즘 건축작품이나 그에 관계된 저작에 대한 질문을 받을 때, 그는 아래와 같이 대답하였다.

    내가 처음으로 모더니즘 건축을 접하게 되었을 때, 그 책들은 강렬한 것이였다. 내가 읽었던 그 많은 책들 중에서, 르 코르뷔제가 직면한 문제에 대해 탐구한 방식이나, 그의 드로잉, 그의 이론, 그의 관점들이 있었던 페이지만큼 빛나는 것은 없었다. 동시에 나는 펜실베이니아 대학에서 받았던 교육에서 크게 고려되지 않았던 단순한 주택이 이제는 중요성을 갖게 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1932년경의 대공황 시기에도 칸의 모더니즘 건축의 조형원리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의식을 뒤로 미루지 않았다. 그는 실직당한 다른 30명의 건축가, 기술자와 함게 건축연구그룹을 결성하였다.

    그 몇 해 동안, 칸은 공공의 주택건설 사업이나 도시설계에 참여했다. 1937-39년의 합리적인 도시계획(The Rational City Plan)은 필라델피아의 미래계획으로서 인구 2백만 명을 수용할 수 있는 도시를 계획한 것이다. 이 계획한 것이다. 이 계획안은 루이스 칸 개인의 작품은 아니다. 이 작품은 일정 부분 르 코르뷔제가 1922년 발표한 300만 명을 위한 현대도시(Ville contemporaine)의 수정된 변형으로 보인다.

    1935년에서 1937년 사이에, 알프레드 카스트너(Alfred Kastner)와 루이스 칸은 공동으로 뉴저지주 루즈벨트에 저지 주택계획(Jersey Homesteads)을 계획하고 건설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대략 250세대의 주거지로, 이 건물은 완전하게 모더니즘 건축의 개념에 따른 것이었다. 같은 시기에, 칸은 자신만의 프로젝트를 실행할 수 있는 첫 번째 기회를 갖게 된다. 그것은 아하바스 이스라엘 유태교 회당이다. 전통적인 로우하우스에서 보이는 단순한 입방체의 이 건물은 극도의 단순성이 강조되어 있다. 내부공간은 놀라울 정도로 온화하고 고귀함을 갖추고 있다. 칸은 1924년 졸업 이후, 실제로 건설한 이 두 프로젝트 외에는 다른 기회를 갖지 못하였다. 이러한 상황은 제2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바뀌었다. 조지 하우, 오스카 스토노로프와 공동으로, 칸은 1941에서 1942년 사이에만 적어도 7개나 되는 전시주거지 프로젝트를 설계하였다. 이 중 5개는 실제로 지어졌다. 마침내 칸이 모더니즘 건축의 이상을 큰 규모에서 시도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 것이다.

    1945년 칸은 버나드 주택(B. A. Bernard House)의 증축동을 완성하였다. 무언가 서투른 인상의 이 건물은 칸의 작품에서 중요한 휴지기임을 보여준다. 이 작품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둥의 배열, 수평창, 평지붕, 기단부 위에 떠있는 듯한 입방체, 수직의 쪽널 등의 요소를 칸이 잘 처리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칸의 건축적 능숙함을 재확인시킨 것은 웨이스 주택(Weiss House), 1947-1950에서이다. 이 작품의 성공으로 유태인 커뮤니티 센터(Jewish Community Center,1948-1954)와 칸의 첫 번째 명작인 예일대학 미술관(Yale University Art Gallery,1951-1953)을 설계하게 되었다. 이 때에 이르러서야 칸은 그 자신의 독자적인 건축언어를 확실하게 보여주었다. 이 이후에 그는 뛰어난 창조적 능력을 계속해서 보여주게 된다.

    칸은 1947년부터 예일대학에서 교편을 잡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8년 후 펜실베이니아 대학으로 옮겼다.

    칸은 1950년부터 1951년까지 파견 건축가로서, 로마의 아메리칸 아카데미(American Academy)에서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이 기회는 이후 그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는 이 때 이탈리아, 이집트, 그리스를 방문하여 그 곳에 있는 건축적 유구를 공부하였다. 기자의 피라미드, 카르낙의 강력한 기둥, 룩소르의 파일론, 아크로폴리스, 그리고 카라칼라 욕장의 벽돌로 된 볼트 등에 대한 경험은 그에게 직접적인 도움을 주기보다는, 그의 건축에 대한 사고와 감정을 자극하는 기회였다.

    이 이후, 칸의 작품은 혁신적임과 동시에 고풍적인 성격을 지니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칸을 그 시대에서 점점 더 고립되게 하였다. 디자인의 본질이나 근원을 묻고자 한 그의 방식은 그를 건축역사 속에서 탐험하게 하였다. 그는 인류가 새로운 단계로 접어들었던 역사의 한 정점들인 이집트의 모뉴먼트, 그리스의 신전, 로마의 욕장, 스코틀랜드의 성, 요새화된 프랑스의 도시들, 고딕의 대성당, 르네상으 교회, 이탈리아의 광장으로부터 영감을 얻었다. 이것은 칸의 건축이 특정한 시기의 역사적 양식을 단순하게 모방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것보다는 건축의 문제에 대해 본질적인 해답을 탐구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동시에 그는 현대적인 기법을 사용하여 실현시켜 나가고 있었다. 칸은 자신의 건축언어를 발전시켜 나감과 동시에 언어적 표현에 있어서도 자신의 개인적인 형식을 개발하였다. 그는 자신의 생각과 철학적인 사상을 보다 더 잘 표현하기 위하여 새롭고 독특한 방식으로 단어를 조합하고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그의 글은 읽고, 해석하고, 그리고 이해하기에 어려운 것들이 종종있다. 그는 말한다. 한 단어조차도 예술 작품일 수 있다.

    칸이 건축문제를 다루는 심오하고 복잡한 방식은 그가 디자인 과정에서 사용하는 에스키스 방법에도 영향을 주었다. 그의 에스키스는 트레이싱 페이퍼에 부드러운 목탄으로 선을 그리고, 다음 순간 보다 더 적절하다고 생각이 들면 그려졌던 선은 지워진다. 이와 같이 디테일까지 다루는, 복잡하며, 많은 시간이 소모되는 칸의 디자인 방식은 주어진 시간 안에 프로젝트를 끝내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생기는 이유가 되었다. 게다가 그는 건축주로부터 주어진 스페이스 프로그램대로 작업하거나, 제시된 예산의 한도 내에서 작업을 하는데 어려워했다.

    칸이 설계한 것 중의 많은 것들이 제시된 규모를 넘는 것이 많았고, 예산을 초과하는 것은 보통이었다. 도면을 다시 그리고, 심지어는 처음부터 다시 계획하는 것이 불가피했다. 그래서 그는 많은 건축주들과 소원하게 되거나 잃기까지 했다. 심지어는 개발업자가 이미 그와의 계약을 파기했음에도, 쉽게 그만 둘 수가 없어서 설계를 계속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 만족스런 해결에 이르지 못해 계획하는데 여러 해를 보낸 많은 프로젝트들이 있다. 말할 것도 없이 이러한 작업방식은 확실히 경제적이지 못하다. 실제 칸이 죽었을 때, 그의 사무소에는 적지 않은 빚이 남아있었다. 그는 그의 삶과 모든 노력을 건축에 완전히 바쳤으며, 다른 방식의 삶은 상상할 수조차 없는 것이었다.

     

    2.    주요작품

     

     1.    예일대학 미술관(Yale University Art Gallery, New Haven, Connecticut,1951~1953)

    -     루이스 칸이 그의 고향인 필라델피아에서 벗어나 계약한 첫 번째 주요 작품이다. 이 미술관에서 칸의 디자인의 특징은 명확함과 강력함이다.

    설비와 조명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는 어둡고 속이 빈 사면체(콘크리트의 3각추를 연속시킨 듯한 그리드의 독특한 구조시스템)의 천장이 공간을 부드럽게 하여 쾌적한 장소를 만들고 있으며, 번화한 도로에 면하여 무미건조한 정면은 장식이 없고 무표정하게 보이나 채플도로와 기존의 미술관에 적합한 스케일을 나타내려는 시도이다.

     

     2.    펜실베이니아대학 리처드 의학연구소(Richards Medical Research Laboratorie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hiladelphia, 1957~1961)

    -     이 작품의 특징은 구조의 명쾌함이다. 건물에서 연구실은 자유롭게 분할될 수 있도록 정사각형의 기본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공간의 측면에 급배기 환기덕트, 비상계단이 있는 인상적인 벽돌타워가 있다.

    칸의 창작활동이 알려진 것은 50세를 넘어서 펜실베이니아대학 리처드 의학연구소가 계기가 되었다. 칸은 이 작품에 있어서 제공(봉사)하는 공간(Servant Space : 프로그램에 있어서 변화하는 요구조건을 수용할 수 있음)과 제공(봉사)받는 공간(Served Space : 역사나 문화의 연속성과 연결될 수 있도록 건축공간을 구별)을 공간적, 구조적으로 분리(위계화)하여 외부적 형태(실험실의 서비스 기능 덕트와 파이프들의 설비부분)와 계단 같은 통행공간은 연구 스페이스로부터 명확히 분리 배치하였다.

    그 결과 봉사하는 공간은 벽돌조의 탑상의 조형으로(과학자들의 작업공간은 유리로 덮인 수평구조로 나타남) 명쾌하게 표현하고 있으며, 뉴브루탈리즘(New-Brutalism)적인 노출 미학에 고전적인 질서를 느끼게 하는 표현은 근대건축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실험실에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가변성이나 확장성이 봉쇄되어 있다는 점과 가변적이고 일시적일 수 있는 서비스 기능을 기념비적으로 만든다는 것이 건축적으로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에 대한 다소의 문제점에 비판도 있다.

     

     3.    솔크 생물학연구소(Jonas Salk Institute for Biological Studies, La Jolla, California, 1959~1966)

    -     칸은 이 작품에서 다시 비렐딜 기법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설비배관을 위한 독립된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이 공간은 사람이 서서 걸을 수 있을 정도의 여유 있는 크기를 가지고 있다. 그 결과 방에 기둥이 없게 되었으며, 요구된 융통성에 대해 완전하게 대응하게 되었다.

    태평양을 바라보는 남캘리포니아 언덕 위에 세워졌으며, 가늘게 분절된 콘크리트 벽면과 백목의 개구부를 가진 개실 존(zone)과 공동연구실 존을 로지아(loggia)를 사이로 이은 구성의 건물이 트래버틴(travertine)의 중정을 끼고 2동이 들어선 형태이다.

    초기단계에서는 2개의 중정과 4개동으로 구성되었으나 최종안은 2개동으로 축소되었으며, 처음에 정원은 가로수로 의도되었으나 중앙의 정원을 하늘로 향하여 개방된 공간으로 간주한 조경설계가 루이스 바라간(Luis Barragan, 1902~1988, Guadalajara, Mexico)의 조언에 따라 레신 토석으로 포장되었고, 자연과 연결시킨다는 생각과 자연적으로 풍화하는 재료(티크,)의 사용이 전체계획의 요점이 되었다.

     

     4.    브린모어대학 어드만 기숙사(Erdman Hall Domitories, Bryn Mawr College, Pennsylvania, 1960~1965)

    -     상부에서 채광되는 공공공간을 중앙에 만들고 그 주위에 각 침실을 반복하여 대각선상에 배치하고 있다.

    그의 대다수의 작품에서와 마찬가지로 사적공간과 공적공간이 스케일이나 성격에 의하여 분리되며, 재료나 구조를 달리(중앙부분은 콘크리트조이며, 그 주변은 시멘트블록 위에 플라스터와 슬레이트 석으로 마무리)하고 있다.

    빛이 낮에는 빛의 샤프트에서 분산되지 않기 때문에, 극도의 신성한 분위기는 일어나지 않는다. 파사드의 요철은 요새와 같은 인상을 준다. 성의 제일 위에 돌출되어 있는 것과 같은 부분이 위아래로 긴 창의 수직성을 완결시킨다. 돌출된 부분의 방에서 창의 개구부는 옆면에 설치되어 있다.

     

     5.    방글라데시 국회의사당(SHER-E-BANGLANAGAR,The National Assembly Building, Jatiyo Sangshad Bhaban, Bangladesh, Dacca, 1962~1974)

    -     수도 데카에 계획한 행정시설군의 중심으로 칸이 배치계획에서 공공기관의 성채 라 부를 정도로, 의사당을 핵으로 이를 둘러싸는 16각형 평면의 회랑에 식당, 모스크 등이 늘어서 있다.

    콘크리트, 벽돌, 대리석을 소재로 하는 건물은 주변의 자연과 대치하듯이 원, 삼각형, 직사각형과 같은 기하학적인 형태를 갖는데, 내부에는 이슬람 건축의 돔, 볼트, 아치와 같은 형태언어가 표현된다. 또한 칸은 이곳의 사람들이 하루에 다섯 번씩 기도를 드리는 것을 알고, 이를 규정짓는 것으로 의사당으로 들어가는 출입구를 마치회교신전과 같이 만들었다.

    이 건물의 중앙에 위치한 거대한 의사당의 조명은 위로부터 오는 자연광으로 처리했는데, 의사당이 지붕은 상부구조에 나있는 다양한 형식의 구멍을 통해 빛이 유입되고 실내로 들어오기 전에 커다란 보에 반사되도록 하여 빛을 변형시키는 거대한 구조물이 되었다.

    국회의사당은 칸의 작품 중에서 가장 아름답고, 가장 원숙한 작품이라 알려져 있다. 이 작품에서는 아주 다양한 빛의 제어와 조절 기법이 사용되었다.

     

     6.    킴벨미술관(Kimbell Art Museum, Texas, Fort Worth, 1967~1972)

    -     루이스 칸은 설계 초기부터 이 미술관은 볼트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야 한다고 확신했다. 1969년에 그는 4개의 계획안을 작성하였다. 최종적으로 완성된 평면도는 장방형으로 되어 있으며, 출입구를 위해 중앙의 볼트가 파져 있다.

    칸 평생의 최대 걸작품으로 간주되는 이 건물은 (room)의 아이디어가 인위적인 착상이 아니라 그대로 실현되어 있다. 1950년대의 트렌턴의 베스하우스(Trenton Bath House, 1954~1959, Trenton, New Jersey)에서 처음으로 밝혀진 구조, 공간, 빛의 통합이 이 작품에도 매우 직접적이고 명쾌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건축에 서는 좀처럼 이룩할 수 없는 단일성과 일체성이 있다.

    칸은 자연광은 생명력이 있고 영원히 변하기 때문에 자연광을 선호했으며, 자연광의 자외선이 미술품에 해를 주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볼트구조의 지붕에 길게 나있는 천창을 통하여 빛을 끌어들여 그 빛을 여과하는 방법으로 내부에 막을 설치하여 빛이 천장에 반사되도록 하였다.

    기단상의 지상층에 30m ×  6.5m의 볼트를 길이방향으로 3열로 잇고 박공측은 6개의 사이클로이드(cycloid) 곡선이 이어져 있는 형태로서, 지붕은 쉽게 굽어지는 불침투성의 재료인 납으로 되어 있다. 첫 번째 지붕은 개방되어 외부의 돌출현관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정면 입구를 전면유리, 양옆을 포치로 하여 공원에 개방적으로 연속시키고 있으며, 외관은 전체적으로 벽으로 막혀 있지만 내부의 인상은 그것과는 대비적으로 은은한 밝기에 충만해 있다.

    볼트 중앙의 톱라이트(top light)는 곡면을 부드럽게 부상시키고, 주광은 점점이 늘어서 있는 중정으로부터 들어오며, 볼트와 볼트 사이의 2.5m 폭의 낮은 공간에는 설비나 계단실이 있다.

    노출콘크리트, 트래버틴(travertine), 목재패널(오크)을 주로 한 재료의 한정, 억누른 기미의 치수 그리고 대개 평활한 표면 등에 의해 종래 칸의 특징적인 명쾌한 공간의 구분, 강한 형태의 힘과 음영의 대비 등이 억제된 듯한 조화의 중용감을 보여주고 있다.

     

     7.    필립스 엑스터 아카데미 도서관(Phillips Exeter Academy Library, New Hampshire, 1967~1972)

    -     빛과 고요함, 조용함이 요구되는 열람실과 폐쇄성이 요구되는 서고, 도서관에 요구되는 이 상반된 기능적인 요구를 칸은 중앙에 세운 6층의 오픈 스페이스의 홀에서 도너츠상으로 배치하는 수법으로 하나의 건축으로 통합하였으며, 이는 오픈스페이스를 향하여 개방된 서고에 의해 실현되고 있다.

    칸은 엑서터 도서관에서 사람과 책이 어떻게 함께 어우러지는가에 관심을 두었으며, 그 결과 칸은 이 건물에서 거대한 중심공간을 디자인하였다. 고전적인 이 중심공간은 중심부와 주변부를 기능으로 분리하여 공간의 위계를 상징화하고 있다.

    지붕과 서고 그리고 벽에서 잘려나간 형태인 커다란 원형 형상을 통해 빛이 이 공간으로 들어오며, 이러한 중심공간에서 사서는 책을 전시할 수 있고 독자는 책을 열람실이나 정자, 혹은 건물 주변의 어떤 장소로 가져갈 수 있다.

    열람실은 독자의 눈높이 위에 있는 커다란 창문에 의해 조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각각의 개인 열람실에는 캐럴(carrel) 높이의 슬라이딩 나무 셔터가 달린 창문이 있는데, 이 창문은 프라이버시와 캠퍼스 조망을 위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건물에 사용된 주요 소재는 벽돌과 노출콘크리트이고 새시(sash)는 나무이다.

     

     8.    예일대학 영국미술관(Yale Center for British Art, New Haven, Connecticut, 1969~1974)

    -     이 멜론센터는 루이스 칸의 후기 작품들 중 두 가지 측면에서 예외적이다. 첫째는 구조방식을 콘크리트 라멘조로만 한 것이고, 둘째는 외피에 처음으로 스테인리스 강판을 사용하여 성공한 사례라는 것이다. 초기 작품에서도 칸은 이와 같은 구조방식을 사용한 적이 있다. 미국 노동자연맹 의료서비스센터에서 그의 첫번째 시도는 개념적인 혼란을 보여주었지만, 칸은 이 건물에서 그 문제를 명쾌하게 해결하였다.

    사실상 루이스 칸의 최후의 작품이 되었으며, 초기의 대표작인 예일 아트 갤러리(Yale University Art Gallery)의 맞은편에 세워져 있다.

    파사드(façade)는 얇은 콘크리트조의 프레임에 불투명한 회색의 백납으로 도금된 스테인리스의 패널이 채워져 있으며, 내부의 요구에 따라 랜덤(random)하게 설치된 창이 균질한 그리드에 활기를 주고 있다.

    내부는 2개의 광정(Light Court)과 그것을 둘러싸는 전시실로 구성되어 있다. 출입구 측의 코트는 4개 층의 광정으로, 다른 코트는 3개 층의 광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자에서는 가운데 계단실이 있는 원주가 장엄함을 가져다주고 있다.

    벽면은 화이트 오크의 패널로 칸막이되거나 둘러싸여 있으며 벽면에 뚫린 개구부를 통해 전시실로 자연광을 받아들이고 있다. 천장시스템은 최상층의 전시실에 자외선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참고문헌>.

    윤정근 외 4인 저자, 『서양 근현대건축』, 기문당, 2007

    Urs Buttiker 저자, Louis I. Kahn, spacetime,2002

    존 로벨 저자, 『침묵과 빛』, 미건사, 1992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